Heaviness wrapped up with Lightness

가벼움으로 포장된 무거움


김현정의 그림을 읽다 / Reading Kim HyunJung’s painting

이동천 / Lee DongChun



김현정의 그림은 귀엽고 재미있다. 조금 관심을 갖고 보면, 어느새 중국화가 치바이스(齊白石 1864~1957)의 그림이 떠오른다. 흥미로운 소재와 진솔한 묘사에서는 일상생활 속에서 아름다움을 찾았던 치바이스의 초충도, 화조화, 인물화의 예술정신이 엿보인다. 색깔은 치바이스의 ‘잎사귀는 검은 먹물로 꽃은 빨간 색으로’ 그린 묵엽홍화(墨葉紅花) 화법처럼 그림에 먹물과 밝은 색을 거침없이 사용했다. 그림을 벗어날듯 화폭의 가장자리까지 바짝 밀어붙인 구도는 치바이스의 화조화나 리커란(李可染 1907~1989)의 산수화와도 일맥상통한다.
김현정은 분명히 치바이스를 배웠다. 치바이스의 “나를 배우면 살고 나와 비슷한 척하면 죽는다(學我者生, 似我者死)”는 말처럼, 그의 그림 스타일보다는 예술정신을 본받았다. 김현정은 치바이스가 현장 스케치를 통해 그려낸 대사의화(大寫意畵)에서 예술정신을 찾아 이를 사실적 묘사로 재구성했다. 그녀는 이를 ‘출사입공(出寫入工)’ 화법이라고 명명했다. 이는 지금까지 정반대로 여겨졌던 사의화(寫意畵)의 예술정신과 공필화(工筆畵)의 사실적 묘사를 문인의 정서에 맞게 하나로 새롭게 창조한 것이다.
‘출사입공’의 구체적 표현 방식으로 ‘쌍층(雙層)’이라는 새로운 화법도 창안했다. 창작방식은 한지에 수묵으로 사의(寫意)화풍의 밑그림을 그린 다음, 그 위에 얇은 비단을 붙여 사실적 묘사로 그림을 완성한다. 이는 오랜 세월 서화작품 뒤에 붙여 ‘작품을 보호하는 종이’로만 인식되었던 명지(命紙)를 처음으로 작품 창작에 활용한 것으로, 우리에게 새로운 아름다움과 함께 신선한 감동을 주고 있다.
청나라 양주팔괴(揚州八怪) 가운데 하나인 정섭(鄭燮 1693~1765)은 “반은 배우고 반은 버리라(學一半, 撇一半)”라고 주장했다. 아무리 우수한 전통이라도 반만 배워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전통을 완전히 무시하는 시대이다. 김현정은 동양의 전통화법에서 반을 배웠다. 송(宋)나라 화조화, 진홍수(陳洪綬 1599~1652), 운수평(惲壽平 1633~1690), 석도(石濤 1641~1707), 팔대산인(八大山人 1625~1705), 고기패(高其佩 1660~1734), 금농(金農 1687~1764), 김홍도(1745~1806) 등의 화법을 연구했다. 나아가 그녀는 전통 화법의 색감 표현에서 새로운 방법을 모색했다. 안료만으로 그림의 중요한 부분을 표현하기에 부족함을 느껴 화법의 하나로 자수(刺繡)를 활용했다. ‘화주수보(畵主繡補)’라 부르는 이 화법은 공필화에 새로운 볼거리를 선사했다.
김현정이 그림에서 추구한 새로운 변화와 혁신은 ‘쌍층’ ‘화주수보’ 화법 등에 그치지 않는다. 김현정은 심리상담을 받으며 인형치료법으로 생긴 내면아이(inner-child) ‘랄라’를 통하여 자신의 특별한 감성을 회화적 언어로 표출했다. 이는 심리상담을 통해 눈물로 정화된 자신의 내면아이를 형상화한 것으로, 작가 자신에게 치유의 과정이자 예술작업이다. 김현정의 랄라 그림은 결코 팝아트의 산물이 아니며, 세계미술사에서 처음으로 예술가가 자신의 내면아이를 예술작품으로 승화시킨 것이다.
동양의 전통회화에 대한 김현정의 깨달음은 우리에게 공필화의 새로운 에너지를 보여준다. 김현정은 정교하고 화려한 공필화로 우리시대 지식인의 정신세계를 구현했다. 이는 화가의 심리학 에세이를 그림으로 형상화한 것으로, 김현정만의 독특한 예술세계가 반영된 21세기 신(新) 문인화이다.
Kim HyunJung’s paintings are cute and interesting. Her painting reminds us of paintings by Qi Baishi 齐白石 (1864-1957). Qi Baishi pursued beauty in his life, and his artistic spirit is found in his plant-and-insect paintings, flower-and-bird paintings, and figure paintings. Qi Baishi’s artistic spirit is sensed in Kim’s interesting subject matter and candid depiction. Kim audaciously uses ink and bright hues in in the manner of Qi Baishi who applied ink to leaves and red to flowers 墨叶红花. The composition in which subject matter is drawn to the edge of the paper is parallel to that of Qi Baishi’s flower-and-bird paintings and landscape painting of Li Keran’s 李可染 (1907-1989).
Kim obviously learned from Qi Baishi. Qi Baishi said, “Learn from me you stand, copy from me you fall 学我者生, 似我者死.” Kim modeled herself after Qi’s artistic spirit rather than his painting style. Kim explored the artistic spirit in Qi Baishi’s painting, in which he emphasizes the meaning of painting and expresses his spirit, and reconstructed this in a realistic rendition. She calls this the “chulsa-ipgong 出写入工” technique. This is a melding of xieyi 写意 painting (painting that underlines the painter’s spirit), gongbi-hwa 工笔画 (painting done very carefully with the utmost care for details), and a new invention in tune with her emotion.
Kim HyunJung designed a new method called “ssangcheung 双层” (Painting on Double layers) as a specific expression of the “chulsa-ipgong”. It is created by Xieyi 写意 style sktch on Korea Traditional Paper with Indian ink and after completes painting with realistic depiction on silk pasted over it. Kim HyunJung is the firt time to use for creating works the mingzhi 命紙 only used to protecting drawings for a long time, she gives us refreshing and new beauty.
Zheng Xie 郑燮 (1693-1765), one of the Eight Eccentrics of Yangzhou during the Qing Dynasty asserted, “Learn half, and throw away half 学一半, 撇一半.” This means even if a tradition is excellent, you have to learn only half of it. However, the traditional is currently completely disregarded. Kim learned her ‘half’ from traditional Eastern techniques. She studied the idioms of flower-and-bird painting from Song Dynasty, and learned from artists such as Chen HongShou 陈洪绶 (1599-1652), Yun ShouPing 恽寿平 (1633-1690), ShiTao 石涛 (1641-1707), BaDaShanRen 八大山人 (1625-1705), Gao QiPei 高其佩 (1660-1734), Jin Nong 金农 (1687-1764), and Kim HongDo 金弘道 (1745-1806). Moreover, she explored new methods in expression of color in traditional techniques. As she felt insufficiency in the use of pigment to depict significant parts of a painting, she made use of embroidery. This technique called “hwaju-subo 画主绣补” (Utilization of Embroidery with Drawing) brought a new vitality to gongbi-hwa.
The techniques of “ssangcheung” and “hwaju-subo” are not the only revolution and innovation Kim has pursued. Getting psychological counselling, Kim realized the existence of her inner-child. She named her “Lala” and represented her special emotion in a pictorial language through this. Her Lala painting is a projection of her inner-child that she became aware of through psychological consultation, and for the artist a process of healing. This painting is in no way the product of pop art, but the sublimation of an artist’s inner-child to a work of art for the first time in art history.
Kim lends new energy to gongbi-hwa through her realization of traditional Eastern painting. Kim has incarnated the spiritual world of intellectuals in our age in exquisite, flamboyant gongbi-hwa. As a projection of a painter’s psychological essay in painting, this work is a new literati painting of the 21st century reflecting Kim’s distinctive art-world.




PREV   |   NEXT
ⓒ Lala Teresa. All right reserved